오늘은 서버 배포과정에서 겪었던 수모들을 알려주고자 한다!
SuperDMZ를 활용한 서버 IP 노출시키기
먼저 나는 개인적으로 소장하고있는 라즈베리파이 OS를 집 공유기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포트 포워딩을 통해 특정 공유기로 들어오는 특정 포트를 라즈베이파이로 연결시켜주면서 사용하였다.
하지만 최근에 더 좋은 방법을 알게 되었다. 바로 SuperDMZ다.
포트포워드, DMZ, SuperDMZ에 관한 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였다.
https://m.blog.naver.com/kangyh5/221663259947
Port Forward, DMZ, Super DMZ의 차이
1. 포트 포워드 (Port Forward) 포트 포워딩은 방화벽(모뎀, 공유기 등)으로 차단된 네트워크의 외부에서...
blog.naver.com
쉽게 설명하자면 SuperDMZ는 외부 IP와 같은 수준으로 따로 IP를 할당받기 때문에 포트포워딩을 일일이 해줄 필요가 없이 라즈베리파이의 모든 포트가 즉시 외부로 노출된다.
DNS 설정하여 IP를 가리기
이제는 웹 서버를 세상에 내보내기 위해 DNS를 IP랑 매핑해줘야 한다. IP주소만으로도 접속은 가능하지만 기억하기 쉬운 DNS가 있어야 사용률이 더 높기도하며 IP주소만 딸랑 있으면 부끄럽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0.gif)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도메인을 구입할까 하였지만 no-ip라는 서비스를 알게 되었다. 도메인을 무료로 제공해주는 업체인데 1개월마다 갱신버튼을 눌러줘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무료이기 때문에 불만은 없다!
no-ip 사이트에서 만든 도메인을 내 서버의 IP와 연결시키는 것으로 DNS 설정을 완료하였다.
IP가 동적으로 변하는 문제 해결하기
마지막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바로 공유기의 IP가 동적으로 바뀌기 때문에 DNS에 연결되어있는 IP도 동적으로 바꿔줘야한다.
처음에는 IP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찾아보았지만 통신사에 전화해서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꼼수를 알아보았다.
내가 찾아낸 방법은 no-ip 사에서 제공하는 DUC라는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다. 사실 이거때문에 no-ip 사이트를 선택한 것이다.
DUC가 뭐냐면 해당 프로그램을 서버에 설치하면 1분마다 해당 서버의 IP주소를 알아내어 변경사항이 있다면 no-ip에 등록한 DNS에 매핑된 IP를 바꿔준다. 즉 동적 IP여도 고정IP가 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아주 멋진 프로그램이다.
오늘은 여기까지!
'notice-crawl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일기 9편 [스레드 부하 테스트] (2) | 2024.11.16 |
---|---|
개발일기 8편 [서비스 페이지 소개] (1) | 2024.11.15 |
개발일기 6편 [스레드를 이용한 성능 최적화] (0) | 2024.11.13 |
개발일기 5편 [서비스 개편] (0) | 2024.11.12 |
개발일기 4편 [Gmail 발송제한 완화법] (1) | 2024.11.11 |